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

본문용 폰트와 제목용 폰트 대체로 본문용 글씨는 14포인트보다 작은 크기를 말하고, 제목용 글씨는 14포인트보다 큰 크기를 말한다. 폰트는 처음 디자인할 때부터 본문용으로 사용할지 제목용으로 사용할지를 정해두고 제작한다. 본문과 제목 폰트의 구분은 크기에 따르는데 아니라, 시각적 무게감과 주목성이 있는 타입으로 만들고 본문용은 친숙하면서도 가독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본문용 폰트 친숙함과 가독성이 높은 글씨체로 그뿐 아니라 타입의 굵기, 글자너비, 공간 등을 고려해 만들어진다. 본문용 타입의 특성 심미성: 심미적 기분은 주관적이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서 보기에 좋게 만들어야 한다. 적정성: 사람의 목소리가 제각기 다르듯 모든 글자체도 각자의 개성과 분위기가 있다. 본문용 타입은 저자의 의도가 잘 드러날수 있도록, 글자체뿐만 아니.. 2022. 5. 23.
폰트와 패밀리 타입의 매개 변수 동일한 발음에 해당하는 글꼴의 기본 형태는 동일하다. 어떤 글자체는 낱자들의 기본 골격은 그대로 유되지며 디테일한 사항만 다른 것이다. 음소들이 결합해 구성된 음절로 구성된 한글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타이포그래피는 매개변수(이탤릭, 세리프와 산세리프, x-높이, 글자너비, 경사, 스템과 바, 획 굵기)의 변화를 통해 폰트 패밀리로 파생되는 것이다. 매개 변수는 기본 폰트로부터 다양한 폰트를 파생시켜 하나의 패밀리로 형성된다. 아래 항목은 기본 폰트에서 시각적 변화를 만드는 매개변수의 세부 사항이다. 획 굵기 : 획의 굵기는 타입의 주목성과 무게에 영향을 준다 스템과 바 : 스템과 바의 대비는 타입의 수직적 인상을 변화시킨다. 시대적 또는 시각적 양식의 영향도 받는다. 경사 : 경사(st.. 2022. 5. 19.
한글 낱자의 각부명칭과 타입의 시각 보정 한글 낱자의 각부 명칭 한글 낱자의 해부적 구조는 알파벳과 달리 한글의 특성에 맞춘 세부 명칭이 있다. 둥글 이응 : 동그라미에 가까운 이응의 둥근줄기 타원 이응 : 타원으로 된이응 줄기 바깥 이응 : 줄기 바깥의 이응 안 이응 : 줄기 안쪽의 이응 기둥 : 홀자를 이루는 세로로 된 모든 줄기. 글자 전체 힘을 지탱하는 역할을 함 짧은 기둥 : 홀자를 이루는 가로줄기에 짧게 붙은 기둥 겹기둥 : 홀자에서 2개가 모인 기둥 바깥기둥 : 겹 기둥에서 안쪽에 있는 기둥 보 : 홀자를 이루는 가로로 된 모든 줄기. 건축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기둥과 구조가 어울리도록 함. 이음보 : 섞임 모임 글자에서 다음 기둥으로 이어지기 위해 휘어진 보. 걸침 : 2개의 세로줄기 사이에 걸친 가로줄기. 혹은 2개의 기둥 사이.. 2022. 5. 16.
타이포그래피 상관요소 상관 요소란 시각 요소에 영향을 끼치는 외적 요인을 말한다 공간 공간은 여백, 마진을 말한다. ( 디자인 요소 간의 간격, 지면상 의도적으로 비워 놓은 것) 글자 마진, 글자 내부 공간, 글자 사이, 낱말 사이, 글줄 사이 등이다. 타이포그래피에서 공간이란 차원으로도 말할 수 있다. 차원은 보는 이로부터의 거리감이라고도 할 수 있다. 2차원에서 가상 차원을 만드는 보편적 방법은 어느 한 것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이다. 이럴 때 작은 것은 후퇴해 보이고 큰 것은 앞으로 나와 보여 진출하여 보여지는 것이다. 이런 효과는 색이나 톤이 추가되면 극적 효과를 만들 수 있다. (차갑고 밝은 색은 후퇴해 보이고, 따뜻하고 어두운 컬러는 진출하여 보인다) 무게 무게에는 심리적 무게감과 물리적 무게감이 있다. 심리적 .. 2022. 5. 15.